서울 지하철은 광범위하게 연결된 대중교통 시스템으로, 많은 노선들이 서울 시내와 인근 지역을 촘촘히 연결하고 있습니다. 여기 서울 지하철의 주요 노선들에 대한 안내를 제공할게요


1호선 (파란색)
- 구간: 소요산 - 인천 / 신창
- 특징: 수도권 전철 1호선은 서울을 중심으로 북쪽의 소요산과 남서쪽의 인천, 남쪽의 신창까지 연결합니다. 경부선, 경인선 등의 여러 철도 노선과 직결 운행되며, 서울역, 종각, 시청 등 서울의 중심 지역을 통과합니다.
2호선 (초록색)
- 구간: 순환선 (서울 전역을 순환) / 성수지선 (성수 - 신설동)
- 특징: 서울의 중심부를 순환하는 노선으로 가장 혼잡한 노선 중 하나입니다. 강남, 홍대입구, 신촌, 잠실 등 주요 상권과 대학가를 지나며, 성수지선은 성수역에서 신설동역까지 연결됩니다.
3호선 (주황색)
- 구간: 대화 - 수서 / 오금
- 특징: 서울을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노선으로, 고양시의 대화에서 시작하여 강남구의 수서와 오금까지 이어집니다. 종로3가, 안국, 경복궁 등 관광지와도 연결되어 있어 많은 이용객이 있습니다.
4호선 (하늘색)
- 구간: 당고개 - 오이도
- 특징: 서울의 동북부에서 남부 지역까지 연결하는 노선입니다. 명동, 동대문, 혜화 등의 주요 상권을 지나며, 안산시 오이도역까지 연장 운행합니다. 관광지와 주요 쇼핑지역과 가까워 관광객이 많이 이용합니다.
5호선 (보라색)
- 구간: 방화 - 하남검단산 / 마천
- 특징: 서울을 동서로 연결하는 노선으로, 방화에서 하남시 검단산까지 이어집니다. 김포공항, 여의도, 광화문 등 주요 업무지구와 연결되어 있으며, 마천지선은 강동구 지역을 커버합니다.
6호선 (갈색)
- 구간: 봉화산 - 응암 (순환 구간)
- 특징: 서울의 북부 지역을 연결하는 노선으로, 상수, 이태원, 창신 등 다양한 지역을 지나며, 도심에서 거리가 있는 북부 지역의 교통을 담당합니다. 홍대입구와 공덕역 등 환승역과도 연결됩니다.
7호선 (연두색)
- 구간: 장암 - 석남
- 특징: 서울의 북동부에서 인천 석남까지 이어지는 노선으로, 강남구의 주요 상업지구인 강남구청, 고속터미널 등을 지나며 교통 혼잡을 해소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8호선 (분홍색)
- 구간: 암사 - 모란
- 특징: 서울 동부 지역을 연결하며 남양주, 하남 방면과 성남 모란까지 이어집니다. 잠실, 송파 등 주거 지역을 지나기 때문에 출퇴근 시간대에 혼잡한 편입니다.
9호선 (금색)
- 구간: 개화 - 중앙보훈병원
- 특징: 서울 서부의 개화역에서 강남구의 중앙보훈병원역까지 이어지며, 김포공항, 여의도, 강남의 주요 상권인 고속터미널과 종합운동장역을 지나 매우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노선입니다. 급행 열차가 운행되어 이용객들에게 인기가 많습니다.
경의중앙선 (청록색)
- 구간: 문산 - 용문
- 특징: 수도권을 동서로 가로지르며 파주시 문산에서 시작해 용문까지 이어집니다. 홍대입구, 신촌, 서울역 등과 연결되어 있어 서울 도심과 수도권 동부를 잇는 주요 노선입니다.
신분당선 (빨강색)
- 구간: 강남 - 광교
- 특징: 강남에서 경기도 수원시 광교까지 이어지는 노선으로, 빠른 속도의 열차가 운행됩니다. 강남에서 판교, 광교까지 통근하는 직장인들이 주로 이용합니다.
기타 노선
- 우이신설선: 서울 강북 지역의 소형 경전철로, 북한산우이역에서 신설동역까지 연결됩니다.
- 수인분당선: 인천에서 서울, 그리고 성남과 수원 방면까지 이어지는 노선으로, 수도권 남부 지역을 주로 커버합니다.
- 서해선: 부천에서 안산, 시흥을 거쳐 경기 서남부를 연결하는 노선입니다.
서울 지하철은 복잡하게 얽혀 있지만, 이 노선들을 잘 활용하면 서울 내 어디든 빠르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. 필요한 구간과 환승 방법에 따라 적절한 노선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해요!